개발/Java

3일차 - 기초 개념들3

piece5 2019. 1. 4. 18:16

▶ 수식


일반적으로 상수,변수,연산자의 조합

개별적으로도 수식이라고 함 (상수만, 변수만)

수식은 항상 결과값을 가짐


int x=10;

int y=20;

int sum = x+y;


▶ 연산


-대입 연산

대입 연산자 : =

값을 변수에 저장(대입)


-산술 연산

 연산자

의미 

예 

더하기 

x+y 

빼기 

x-y 

곱하기 

x*y 

몫 

x/y 

나머지 

x%y 


-관계 연산

연산자 

의미 

예 

== 

x와 y가 같은가? 

x == y 

!= 

x와 y가 다른가? 

x != y 

x가 y보다 큰가? 

x > y 

x가 y보다 작은가? 

x < y 

>= 

x가 y보다 크거나 같은가? 

x >= y 

<= 

x가 y보다 작거나 같은가? 

x <= y 


-논리 연산

연산자 

의미 

예 

&& 

AND 연산, x와 y가 모두 참이면 참, 그렇지 않으면 거짓

x && y 

||

OR 연산, x나 y중 하나만 참이면 참, 모두 거짓이면 거짓  

x || y 

NOT 연산, x가 참이면 거짓, x가 거짓이면 참 

!x 


-비트 연산 ...


▶ 형변환 (type conversion)


-자동 형변환


byte -> short ->

int -> long -> float -> double

char -> 


예를 들어 double형은 (byte~float)형보다 더 많은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 

(byte~float)형에서 double형으로의 형변환이 가능함


ex)


float d =23;     // d=23.0F

int a = 21;     // a=21

double c = a+d;    //a는 d와 같은 float형으로 변환, a:21.0F, a+d:44.0F , a+d가 c에 대입될때 double형으로 변환, c:44.0


ex)


char a = 'c';

System.out.println(a);    //(실행결과) c

double b = a;    //아스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한다

int c = a;    //아스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한다

System.out.println(b);    //(실행결과) 99.0

System.out.println(c);    //(실행결과) 99


-강제적인 형변환


(변환할 자료형) 수식;


ex)

double f;

f= 5/4;    //정수끼리 연산이므로 5/4=1, 1이 double형으로 대입될 때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서 f:1.0

f= (double)5/4;    //5가 double형으로 강제 형변환이 일어나서 4 연산하기 위하여 4도 double형으로 자동 형변환, 5.0/4.0=1.25, f: 1.25